김만덕
|
|
|
|
김만덕 소개
|
|
|
제주 사람들을 구한 여자상인 김만덕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상인은 누구일까?
조선시대의 최고의 여성상인은 알고 있는가?
지금이야 여성들이 재벌 총수가 되기도 하고 한 사업체의 대표가 되는 경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지만 여성들의 활동이 자유롭지 못하던 조선시대에 여성이 상인이 되어 부를 축적하기만 그리 쉽지 않다.
그러나 이제 소개할 그녀는 상인으로서 남다른 재능을 보였을뿐만아니라 돈을 제대로 쓸 줄 알았던 멋있는 여성이다.
제주 사람들은 그녀를 “ 만덕 할망(김만덕 할머니의 제주도 사투리)” 이라 부르며, 제주시 건입동에 있는 사라봉내의 “모충사”에 그녀의 모든 것을 담아 대대로 그녀의 행동과 정신을 기리고 있다.
18세기 후반에 활동한 여자 상인 김만덕 할머니(1739~1812)는 제주인으로 김해김씨 김응렬(金應렬) 종친의 3남매 중 외동딸로 태어났는데, 양가의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용모가 아름답고 태도가 단정했으며 재주가 남달리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그녀는 제주의 양가에서 태어났으나 10여 세에 고아가 되는 불운을 겪게 된다.
그래서 결국 오갈 데 없는 신세가 된 김만덕 할머니는 늙은 기생집에 의탁하여 살게 되었고, 나이가 조금 들자 관에서 그녀의 이름을 기생 명단에 올리고 말았다.
그 당시 기생은 천인 신분으로, 한 번 기생의 기록에 올라가면 평생 지울수 없어 빠져 나오기가 힘든 신분이었다.
이에 고민을 하던 만덕은 나이 스물이 넘자 본인이 본래 양인출신의 여자임을 관에 호소하여 가까스로 기생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그 뒤, 그녀는 그곳을 나와 결혼을 하지 않은채 독신으로 지내며 상업에 종사하기 시작하엿는데, 장사에 남다른 재능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제주시내에서 당시 식당을 하면서 돈을 모으기 시작했고, 앞을 내다보는 상술도 남달리 뛰어나 재산을 모았다.
특히, 그녀는 물가의 시세변동을 이용하여 그 차익으로 이익을 남겨, 십수년 만에 큰 재산을 모으게 되었다.
(김만덕이 재산을 모은 방식은 허생전의 허생이 재물을 모으는 방법과 같다.)
그런데 정조 16년(1792년)부터 정조 19년(1795년) 사이에 제주에 큰 흉년이 들어 제주 사람들의 생활이 말이 아니게 어려워 굶어 죽는 사람들이 속출하기 시작했다.
당시 제주도의 호수는 10,779호에 인구가 64,582명이었으나 1년 사이에 1만 8천명이 굶어죽어갔다는 기록이 있으니 가히 그 참상을 알만하다.
특히 1794년에는 국가에서 보낸 구호 식량마저 풍랑으로 도착하지 못하자 제주 백성의 곤궁한 처지는 더욱더 심해져만 갔고. 다음해 1795년 봄에는 그 참상이 더욱 심했다.
이를 지켜본 그녀는 생각 끝에 자신이 모은 재산을 빈민구제를 위해 회사하기로 하였다.
제주도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전라도의 상인에게 많은 양의 양곡을 사서 제주에 다시 보내도록 부탁하고, 배편 또한 직접 마련하여 제주로 운반하도록 하였다.
그 일부는 자기 친척들을 살리고 나머지 곡식은 모두 관에 실어 보내 제주 사람들 모두에게 혜택이 가도록 하였다.
이러한 만덕의 선행을 지켜보던 제주 목사가 정조에게 다음과 같이 보고한 기록이 남아 있다.
“제주 목사가 기생 만덕이 재물을 풀어서 굶주리는 백성들의 목숨을 구했다고 보고했다.
상을 주려고 하자 만덕은 사양하고 대신 바다를 건너 상경하여 금강산 유람을 원했다. 왕은 그 소원을 허락했으며, 주변 고을로 하여금 만덕에게 양식을 지급하게 했다.(조선왕조실록 정조 20년 11월 25일) “
당시 국법은 제주 여자들이 육지로 나오는 것을 금하였는데, 정조는 특별히 만덕을 내의원에 의녀로 임명하여 서울로 오게 했다.
이것이 지금까지 의녀 김만덕으로 부르게 된 계기가 되는데,이 때가 1796년(정조 20년) 가을로서, 그녀의 나이 57세였다.
서울로 상경한 그녀는 반년동안 궁궐에 머무르면서 체제공 등 유명 인사를 만나게 되고, 1797년 늦은 봄에 그의 소원대로 금강산을 두루 구경하고 제주도로 돌아가게 된다.
그후 정조시절 재상이었던 채제공은 '김만덕전'을 지어주었고 병조판서 이가환(1742∼1801)은 만덕의 선행을 시에 담아 주었다. 헌종 6년(1840) 제주에 유배온 추사 김정희는 만덕의 진휼 행장에 감동하여 손수 '恩光衍世' 찬양한 글을 지어 양손 김종주에게 주었고, 비석도 세워 김만덕의 덕을 칭송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김만덕에 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하여 채제공의 [번암집] 유재건의 [이향견문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만덕할머니는 1812년(순조)12) 10월 12일 7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죽은후에 제주성안이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 묻어달라"는 유언에 따라 화북동에 안장됐다가, 지난 77년 1월 3일 묘가 있는 곳에 공장시설이 들어서면서 만덕묘는 도민의 이름으로 사라봉 모충사 경내로 옮겨졌다. 사라봉 모충사경내에 잇는 돌담집 모양의 만덕관은 1978년 7월 14일 제주여성 만덕의 거룩한 뜻을 기리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만덕이 살았던 1739년(영조 15년)부터 1812년(순조 12년)까지의 각종 의상과 생활 용구, 영정 등 180여 점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어 그녀의 모든 것을 느낄 수 잇다.
제주도는 만덕의 높은 은덕을 기리기 위해, 80년부터 매년 1명씩을 만덕봉사상 수상자로 선정해 탐라문화제 만덕봉제 때 시상하고 있다. 지난 2003년 11월 15일에는 뜻 있는 도내·외 제주도민들에 의해 김만덕 정신을 기리기 위한 김만덕기념회도 발족돼 기념사업을 벌이고 있다.
|
|
|
|
|
|
|
|
|
|